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음악도사랑도
- 육아일기
-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증명
- 육아정보
- 요양보호사
- 아기성장
- 보수교육
- 시창청음
- 아빠 육아일기
- 아빠육아
- 전공생
- 육아
- 초보 아빠 육아
- 서식
- 신생아 육아
- 방문요양
- 보수교육 운영지침
- 국세성
- 의료업자 수입금액 합산표
- 우암관
- 너무 늦었쥬
- 초보아빠
- 노인목욕
- 육아템
- 결혼식축주
- 아내의걱정
- 2년동안 면제
- 새로운여자
- 의료업자 수입금액 검토표
- 방문목욕
- Today
- Total
허니파파 honey_papa87
아이가 말문이 터지는 시기, 부모가 해줘야 할 5가지 본문
나는 육아 유튜브를 자주 본다. 유명한 육아 유튜버들의 아이들은 말도 빠르고 또렷하게 말하는데, 우리 아이는 상대적으로 느린 것 같아 고민이 많았다. “혹시 내가 뭔가 잘못하고 있는 걸까?” “내가 해줄 수 있는 게 있는데 모르고 그냥 지나치고 있는 건 아닐까?” 이런 생각이 들어 육아 책도 찾아보고, 육아 커뮤니티에서도 비슷한 고민을 가진 부모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되었다.
아내는 “말이 빠르고 느린 게 큰 차이가 있는 게 아니야. 그냥 지금 지헌이의 모습을 사랑해주면 돼”라고 말했지만, 나는 부모로서 해줄 수 있는 걸 더 찾아보고 싶었다.
그래서 아이의 언어 발달을 돕기 위해 **말문이 터지는 시기에 부모가 할 수 있는 5가지 방법**을 정리해보았다. 또한, **월령별 언어 발달 기준**과 **언어 발달 지연이 의심될 때 병원 상담이 필요한 경우**도 함께 소개하겠다.
📌 월령별 언어 발달 기준
월령 | 언어 발달 기준 |
---|---|
12개월 (1세) | 엄마, 아빠 같은 단어를 말할 수 있음. 간단한 지시(“안아줄까?”)를 이해함. |
18개월 (1세 6개월) | 10개 이상 단어 사용 가능. "멍멍", "까까" 같은 짧은 단어 말하기 시작. |
24개월 (2세) | 50개 이상 단어 사용 가능. "아빠 간다", "물 주세요" 같은 2~3단어 문장 사용. |
30개월 (2세 6개월) | 300개 이상 단어 사용 가능. "엄마랑 공원 갈래" 같은 문장 구사. |
36개월 (3세) | 500개 이상 단어 사용 가능. 질문을 하고, 대화가 자연스러워짐. |
🚨 말이 늦다면 언제 병원을 가야 할까?
모든 아이가 같은 속도로 말을 배우는 것은 아니다.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는 언어 발달 지연을 의심해보고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수 있다.
- ✅ 12개월까지 엄마, 아빠 같은 단어를 전혀 말하지 않는다.
- ✅ 18개월이 되었는데 5개 이하의 단어만 사용한다.
- ✅ 24개월이 되었는데 2단어 문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.
- ✅ 30개월이 되었는데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하다.
- ✅ 36개월 이후에도 발음이 너무 부정확해서 가족 외에는 이해하기 어렵다.
이런 경우에는 소아과, 언어치료센터, 발달 클리닉 등을 방문해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.
👶 말문이 터지는 시기에 부모가 해줘야 할 5가지
1. 아이가 말할 기회를 주기
- 나는 대신 말해주는 습관이 있었다. 하지만 말문이 트이려면 아이가 스스로 말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.
- “물 줄까?” 하고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, 아이가 "물"이라고 말할 때까지 기다려주는 것이 중요하다.
- ❌ "지헌아, 엄마한테 가서 물 주세요라고 말해볼래?"
- ✅ "엄마한테 '물 주세요' 말해봐!"
2. 짧고 반복적인 문장 사용
- 이해하기 쉬운 짧고 단순한 문장을 사용하면 말하기가 훨씬 쉬워진다.
- ❌ "지헌아, 엄마한테 가서 물 주세요라고 말해볼래?"
- ✅ "엄마한테 '물 주세요' 말해봐!"
3. 아이의 말을 기다리고 반응해 주기
- 아이가 말하면 무조건 반응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.
- ✅ 아이가 “공”이라고 하면, “공이 어디 있어?”라고 되묻거나,
- ✅ “공이 빨간색이네!”라고 반응하면 아이가 더 많은 말을 하려는 동기가 생긴다.
4. 책 읽어주기 & 그림 설명하기
- 책 읽기는 아이의 어휘력을 늘리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.
- 단순히 읽어주는 것보다 **그림을 보고 설명하는 대화**를 추가하면 더 효과적이다.
- ✅ “여기 강아지가 있네! 강아지가 뭐하고 있어?” “강아지가 점프하네! 점프~!”
- ❌ "지헌아, 여기 강아지네? 저기는 뭐야? 고양이네?"
- ✅ (아이가 가리키는 것을 보고) 강아지가 짖고있네?"
5. 노래와 율동 놀이 활용
- 아이들은 **노래와 리듬**을 통해 언어를 더 쉽게 배운다.
- 우리가 어릴 때 동요를 금방 외운 것처럼, 간단한 노래를 자주 들려주면 말문이 터지는 데 큰 도움이 된다.
- 추천 활동1 : 🎵 "곰 세 마리" 같이 반복적인 가사가 있는 노래
- 추천 활동2 : 🤲 손유희 놀이 ("도리도리 짝짝짝" 같은 율동 포함)
🔑 결론: 아이의 속도를 존중하며 부모가 할 수 있는 것
나는 처음에 우리 아이가 말을 빨리 하길 바라는 마음이 컸고, 유튜브에서 또래보다 말을 빨리 하는 아이들을 보면 초조한 마음이 들었다. 하지만 아이는 각자의 속도로 성장한다는 걸 깨달으면서 마음이 편해졌다.
그렇다고 아무것도 안 하고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, **부모가 해줄 수 있는 것들**을 알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. 짧고 쉬운 말로 이야기하기, 기다려 주기, 책 읽어주기, 노래와 놀이를 활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.
지금도 육아로 고민하는 부모님들이 있다면,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. 😊
'아빠의 육아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🍼생후 7개월 아기 육아일기: 기어 다니기 시작!(2023.10.11~11.10) (0) | 2025.03.15 |
---|---|
육아 스트레스 덜어주는 현실적인 방법 (부모 멘탈 관리법) (0) | 2025.03.15 |
🍼생후 6개월 아기 : 미용실, 산책외출, 문화센터 (2023.09.11~10.10) (0) | 2025.03.14 |
🍼생후 5개월 아기 돌보기: 뒤집기 성공과 촉감 놀이의 중요성(2023.08.11~09.10) (0) | 2025.03.14 |
🍼생후 4개월 아기 발달 특징(2023.07.11~08.10) (0) | 2025.03.14 |